Doit 깡샘의 플러터&다트 프로그래밍

강좌정보
강좌소개
커리큘럼
강좌 회차별 커리큘럼 안내입니다. 강좌의 진행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습니다.
회차(차시)
커리큘럼명(차시명)
샘플강좌
강의시간
1회차
00. 과정소개
2분
2회차
01-1 크로스 플랫폼 앱 개발과 플러터
보기
17분
3회차
01-2 플러터 아키텍처와 특징
보기
13분
4회차
01-3 윈도우에서 개발 환경 만들기
보기
23분
5회차
01-4 macOS에서 개발 환경 만들기
보기
14분
6회차
02-1 플러터 프로젝트 분석하기 #1-프로젝트 폴더 구성 알아보기
8분
7회차
02-1 플러터 프로젝트 분석하기 #2-main.dart 파일 분석하기
12분
8회차
02-2 외부 패키지 사용하기 #1-pub.dev 사이트에서 외부 패키지 사용하기
13분
9회차
02-2 외부 패키지 사용하기 #2-doit 실습, 외부 패키지 사용하기
6분
10회차
02-3 플러터 CLI 활용하기
6분
11회차
03-1 다트 언어란?
12분
12회차
03-2 기본 기능 알아보기 #1-import, 사용제한
15분
13회차
03-2 기본 기능 알아보기 #2.-as, show, hide
10분
14회차
03-3 라이브러리 만들기
10분
15회차
04-1 데이터 타입
14분
16회차
04-2 상수 변수 – const, final
12분
17회차
04-3 var와 dynamic 타입
8분
18회차
04-4 컬렉션 타입 – List, Set, Map
12분
19회차
04-5 널 포인트 예외 관리하기
23분
20회차
04-6 널 안전성 연산자
19분
21회차
05-1 함수 선언과 호출하기
9분
22회차
05-2 명명된 매개변수
17분
23회차
05-3 옵셔널 위치 매개변수
7분
24회차
05-4 함수 타입 인수
12분
25회차
05-5 게터와 세터 함수
9분
26회차
05-6 기타 연산자 알아보기
8분
27회차
05-7 실행 흐름 제어하기
13분
28회차
06-1 클래스와 객체
9분
29회차
06-2 생성자와 멤버 초기화
11분
30회차
06-3 명명된 생성자
10분
31회차
06-4 팩토리 생성자
10분
32회차
06-5 상수 생성자
11분
33회차
07-1 상속 알아보기
11분
34회차
07-2 추상 클래스와 인터페이스
12분
35회차
07-3 멤버를 공유하는 믹스인
12분
36회차
08-1 화면을 구성하는 위젯
19분
37회차
08-2 위젯 트리 알아보기
16분
38회차
08-3 정적인 화면 만들기
21분
39회차
08-4 동적인 화면 만들기 #1-StatefulWidget, setState()
12분
40회차
08-4 동적인 화면 만들기 #2-상태클래스 역할, Doit 실습
18분
41회차
08-5 상태의 생명 주기
10분
42회차
08-6 BuildContext 객체와 위젯 키 #1-BuildContext, 키가 필요한 이유
20분
43회차
08-6 BuildContext 객체와 위젯 키 #2-키 클래스, Doit 실습
15분
44회차
09-1 애셋을 활용하는 방법
25분
45회차
09-2 텍스트 위젯
16분
46회차
09-3 이미지 위젯
12분
47회차
09-4 아이콘과 아이콘 버튼
11분
48회차
09-5 제스처 감지기와 엘리베이트 버튼
14분
49회차
09-6 컨테이너와 센터 위젯
15분
50회차
10-1 방향 설정하기 #1-Row, Column
12분
51회차
10-1 방향 설정하기 #2-Stack, IndexedStack, Doit 실습
18분
52회차
10-2 위치 설정하기
17분
53회차
10-3 크기 설정하기
15분
54회차
10-4 기타 배치와 관련된 위젯
17분
55회차
11-1 텍스트 필드
25분
56회차
11-2 체크박스, 라디오버튼, 슬라이더, 스위치
16분
57회차
11-3 폼 이용하기
23분
58회차
12-1 리스트 뷰
21분
59회차
12-2 그리드 뷰
9분
60회차
12-3 페이지 뷰
9분
61회차
12-4 다이얼로그 띄우기
26분
62회차
12-5 탭바 뷰
10분
63회차
13-1 머티리얼 디자인
16분
64회차
13-2 쿠퍼티노 디자인
16분
65회차
13-3 기기 모양에 대처하기
13분
66회차
13-4 스캐폴드 위젯
34분
67회차
13-5 커스텀 스크롤 뷰와 슬리버 앱바
21분
68회차
14-1 내비게이션 사용하기 #1-라우터
24분
69회차
14-1 내비게이션 사용하기 #2-arguments, onGenerateRoute
20분
70회차
14-1 내비게이션 사용하기 #3-내비게이터 스택 제어하기
12분
71회차
14-2 내비게이션 2.0 사용하기 #1-내비게이션 2.0 구조
22분
72회차
14-2 내비게이션 2.0 사용하기 #2-RouterDelegator, RouteInfomationParser
40분
73회차
15-1 JSON 파싱하기 #1-디코딩, 인코딩
20분
74회차
15-1 JSON 파싱하기 #2-json_serializable
25분
75회차
15-2 http 패키지 이용하기
19분
76회차
15-3 dio 패키지 이용하기
28분
77회차
16-1 퓨처와 퓨처 빌더
18분
78회차
16-2 await와 async
16분
79회차
16-3 스트림과 스트림 빌더
24분
80회차
16-4 스트림 구독, 제어기, 변환기
20분
81회차
17 아이솔레이트로 비동기 프로그래밍
31분
82회차
18-1 위젯의 상태 관리하기 #1-상위 위젯에서 상태 관리하기
26분
83회차
18-1 위젯의 상태 관리하기 #2-조상 위젯 상태, 하위 위젯 상태 얻기
18분
84회차
18-2 공용 상태 관리 위젯 만들기
25분
85회차
19-1 프로바이더 기본 개념
14분
86회차
19-2 다양한 프로바이더 알아보기 #1-ChangeNotifierProvider
11분
87회차
19-2 다양한 프로바이더 알아보기 #2-MultiProvider
11분
88회차
19-2 다양한 프로바이더 알아보기 #3-ProxyProvider
19분
89회차
19-2 다양한 프로바이더 알아보기 #4-FutureProvider, StreamProvider
9분
90회차
19-3 컨슈머와 셀렉터 #1-Consumer
29분
91회차
19-3 컨슈머와 셀렉터 #2-Selector
15분
92회차
20-1 Bloc 패턴
33분
93회차
20-3 다양한 Bloc 이용 기법 #1-BlocObserver, BlocProvider, BlocBuilder, BlocListener
33분
94회차
20-3 다양한 Bloc 이용 기법 #2-BlocConsumer, RepositoryProvider
18분
95회차
20-4 Bloc 큐빗
14분
96회차
21-1 단순 상태 관리하기
17분
97회차
21-2 반응형 상태 관리하기
26분
98회차
22-1,2 메시지 채널 이용하기
41분
99회차
22-3 메서드 채널 이용하기
25분
100회차
22-4 이벤트 채널 이용하기
16분
101회차
23-1 위치 정보 얻기 - geolocator
21분
102회차
23-2 이미지 피커 이용하기 – image_picker
15분
103회차
23-3 내부 저장소 이용하기 – shared_preferences
12분
104회차
23-4 내부 데이터베이스 이용하기 – sqflite
25분
105회차
24-1 파이어베이스 이해하기
20분
106회차
24-2 파이어베이스 인증하기
39분
107회차
25-1 파이어스토어 이용하기
18분
108회차
25-2 스토리지 이용하기
41분
109회차
25-3 클라우드 메시지 이용하기
32분
110회차
26-마치면서…...
3분